IT 장비

IDRAC에서 취할 수 있는 권한은 높다. 더불어 IDRAC은 업데이트하기 힘들며(수동 업데이트, PMS서버를 통한 업데이트)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외부망에서 접속되지 않도록 설정한다.따라서 계정 정보를 잊어버렸을 때 idrac 초기화를 통해 시스텀 초기 계정정보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Dell 서버 장비의 기본계정 정보는 아래와 같다.id : rootpw : calvin직접 초기화를 진행해본 결과, 몇가지 특징이 있었다.IDRAC 접속 주소는 초기화되지 않는다(기존에 설정했던 ip주소로 접속 가능이외의 설정은 초기화됨 (계정정보 포함)아래부터는 Dell 서버의 IDRAC 초기화 방법이다.초기화를 진행한 장비는 Dell의 R630 1U 서버이다.1. 서버 부팅 즉시 F2를 눌러 BIOS 설정 진..
Unifi社의 USW-24 스위치를 구매하였고, 잘 도착하였다.이번에는 Unifi Switch 제품이 도착해서 구성품과 함께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해서 글을 남기기로 했다. 홈랩 서버랙에 장착하니.. 유일한 은색으로 영롱하게 빛나고 있다.. 너무 행복하다. Unifi 스위치의 특징이라고 하면, 좌측의 1.3인치짜리 스크린이 있는데, 무려 터치라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스크린의 밝기, 공장초기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기본적인 사양과 시스템 성능, 온도와 같은 정보들을 출력해준다. 처음 택배가 도착했을 당시의 사진이다.간략한 제품 스펙과 사용 메뉴얼에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의 소개, 그리고 연동 가능한 프로그램의 소개와 함께 제품의 구성품에 대한 설명이 적혀있다. 테이핑은 종이로된 박스테이프로 봉해져 있었..
한국과 달리 미국에서는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다보니 youtube 에서 서버랙을 활용하여 홈랩을 구성하는 영상들이나 이러한 구성을 DIY 하는 영상이 많이 업로드 되어 있으며, 우리 또한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서버랙을 구성하는 어느 영상들을 보더라도, 미국 애들이 찍은 영상에서 꼭 등장하는 장비가 있다. 일반적인 다른 스위치 장비에 비해서 이 장비는 은색으로 밝게 빛나고, 심지어 1.3인치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예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디자인이 너무 예쁜데다가, Unifi Network Controller 라는 명칭의 관리자 CGI 서버 또한 기본으로 제공하고 있어 지름을 참을 수 없지 않았다.  직구를 하려고 하였으나... 아쉽게도... Unifi Store에..
Dell사의 하드베이는 정말 이쁘다고 생각한다.3.5 인치의 큰 베이도 다부지게 생겨 이쁘지만, 2.5인치 sas 베이가 정말 이쁘다.아담하면서도 메탈릭한 색감과 튼튼하게 가공된 묵직한 베이의 느낌은 정말 깔끔하다. 전원이 들어와 status led가 반짝거리기 시작하면, 그것을 지켜보는 나의 눈빛또한 반짝이게 된다.
안랩 제품을 사용하면서 유통방식에 다소 흥미를 느꼈다. 일반적으로 '제품 기획 -> 제품 구현 -> 제품 생산 -> 제품 유통'의 절차를 가지지만, 안랩의 경우 제품 유통은 주로 스폰서, 즉 공급회사들을 통해 제공되는 것 같다. Secure monster와 같은 회사들이 안랩의 제품들을 판매하고, 이러한 유통회사들이 라이센스를 보유한 고객에 해당하여 기술지원도 포함하여 제공하는 듯하다. 무턱대로 안랩 고객센터에 전화하였더니, 결국 공급업체로 다시 연락해야하는 상황이었다. 그래서 기록겸 기술지원 절차에 대해서 조금 적어두려 한다.. 공급 업체를 통해 제품을 구매한 경우의 기술지원 절차는 간단하다. 공급업체의 홈페이지를 검색해서 고객센터에 연락하면 제품 구매 시 등록한 사업체명을 고객센터분께 알려드리고 기술..
로지텍의 G304 무선 마우스를 근 3년간 잘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매한 시점부터 지금까지 골머리를 앓고 있는 증상이 있다. FPS 게임과 같이 강한 트래킹 환경에서 간헐적으로 마우스 연결이 끊긴다는 것이다. 조준하다가 마우스 연결이 끊겨 조준이 풀리기도 하고, 급박하게 화면을 돌리다가 끊기기도 한다. 3년간 화내면서 게임해온 것 같다. 주변에 게이밍 산업에서 몇년간 종사하며 게이밍 장비를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친구들에게 물어봐도 다들 이유를 모른다고 했었다. 마우스 하단의 센서 부분을 면봉으로 닦아봐라. 배터리를 자주 갈아보아라,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해봐라.. 구글링해서 여러가지 해결방법이 있었고, 다들 그 방법들로 잘들 해결했지만, 나는 그렇지 않았다. 하지만 친구의 G304 무선 모델을 빌려 ..
Ahnlab社의 TrusGuard 장비의 초기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다. 나중에 까먹지 않고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생각한 것보다 간단하며 테스트한 장비는 50A, 50B, 70A, 70B이다.개인적으로 아래 사진처럼 홈랩 서버를 구축하며 VPN 서비스를 포함한 보안장비를 이용하기 위해 Ahnlab사의 Trusgaurd 70A를 구입하여 운용하고 있다. 추후 운용하며 알게된 관련 팁들을 정리하여 가이드도 작성해야겠다.안랩 트러스가드 초기화 방법 1. Ahnlab Trusguard 장비 부팅2. POST 비프음 들리면 AUX 콘솔 연결하고3. MobaXTerm 등 SSH 접속 프로그램에서 Serial 연결 -> 포트(115200)4. 콘솔 접속 후 안랩 최상위 계정으로 접속id : ahnlabpw : ..
jp_rennka
'IT 장비' 카테고리의 글 목록